티스토리 뷰
반지름순 별 목록
항성 이름 |
R☉ |
정보 |
1,940 ~ 2,169 |
참고용 |
|
1,708 ± 192[2] |
± 192 태양반경 정도 크기 계산 또는 측정의 오류가 있다. 만약에 크기가 최소라면 세페우스자리 V354와 비슷할 것이다. |
|
1,650[3] |
2013년 1월 기준으로 관측된 항성 중 부피가 가장 큰 극대거성으로 추정된다. |
|
1,540 ± 5%[4] |
대마젤란 은하에서 가장 덩치가 큰 별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위치 및 움직임이 비정상적이며, 단순히 전면(前面)의 헤일로 거성일 가능성도 있다. |
|
1,535 |
밝기(최소 3배 차이)와 분광형(G8에서 M까지 변한다.)이 크게 변하므로 크기 역시 크게 변할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가장 밝아졌을 때의 분광형과 표면 온도가 불확실하므로 앞의 반지름 수치는 단순 예측치에 불과하다. |
|
이 별은 강력한 전파를 방출하는 특이한 별로 매개변수들은 매우 불확실하다. 스펙트럼은 변하나 밝기는 일정하다. |
||
1,420 ± 120 |
관측사상 가장 큰 별로 알려진 적도 있으나 그 크기가 항성진화 이론에 따르면 지나치게 거대했다. 더 정교한 관측 결과 반지름은 예전 측정치보다 많이 줄어들었다.[10][11] |
|
1,430 ~ 2,850[9] |
여기서 크기 최대치(2,850배)는 비정상적인 K대 측정치 때문이며, 적색화 보정 오류 때문에 생긴 인위적 결과로 보인다. 크기 최저치(1,420배)는 이론 모형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
|
1,411 ± 124[2] |
전갈자리 AH는 광학 대역에서 거의 3 등급까지 변하는 변광성으로, 총 광도의 20%로 측정되었다. 직경의 변화는 온도 또한 변화하기 때문에 분명하지 않다. |
|
1,350 ~ 1,940[8] |
수축과 팽창에 따라 밝기가 크게 차이 나는 맥동변광성이다. |
|
센타우루스자리 V766 (HR 5171 A) |
1,315 ± 260[12] |
HR 5171 A는 근접쌍성계에 있는 매우 찌그러진 모양의 별으로, 짝별에게 질량을 잃고 있다. |
1,310[13] |
||
허셜의 석류석 별 |
||
1,240[9] |
||
1,190 ~ 1,940[9] |
카시오페이아자리 PZ는 무거운 먼지 소광 영역에 위치해 있다. 다른 의견 으로는, 실제 값은 1,260 ~ 1,340에 이른다. |
|
1,168 |
||
1,090[9] |
||
1,070[9] |
||
1,060[9] |
||
1,050-1,900 |
세페우스자리 VV 쌍성계 중 밝은 A로, 짝별과의 거리는 매우 가까우며 A 자체는 심하게 찌그러져 있는데 이는 A의 질량 일부가 짝별 B로 흘러들어 가기 때문으로 보인다. |
|
1,050[15] |
||
1,009 ± 142[2] |
||
980[9] |
||
979[출처 필요] |
||
972[출처 필요] |
||
960 ± 92[16] |
H 대역에서 개괄적으로 분석되었다. K 대역 결과로 별주위 환경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GCIRS 7과 별주위 환경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다. |
|
920[9] |
||
887 ± 203[19] |
||
856 ~ 1,553[20] |
||
850[9] |
||
800[21] |
||
790[9] |
||
780[출처 필요] |
||
780 ~ 1,230[9] |
페르세우스자리 이중성단에 있다. |
|
780[9] |
페르세우스자리 이중성단에 있다. |
|
780[출처 필요] |
||
770[9] |
||
760[출처 필요] |
||
755[출처 필요] |
||
740 ~ 800[22] |
페르세우스자리 이중성단에 있다. |
|
710[9] |
||
700[23] |
흔치 않은 황색 극대거성이다. |
|
700[24] |
||
700[9] |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탑골GD' 양준일 신드롬…팬미팅 매진·서버 마비까지 (0) | 2019.12.28 |
---|---|
조선 왕조의 수명 (0) | 2019.12.23 |
초경 평균나이는 얼마일까? (0) | 2019.12.20 |
하드디스크(HDD) 21년 동안 용량은 10만배, 성능은 182배 증가 (0) | 2019.12.19 |
4대 은행 점포 현황 (0) | 2019.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