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왕의 정실부인인 왕비를 가장 많이 맞은 임금은 숙종입니다.

인경왕후 김씨, 유명한 인현왕후 민씨, 폐위는 되었지만 어쨌든 7년이나 중전에 있었던 장씨(희빈장씨),

그리고 인현왕후와 희빈장씨가 다 죽고 맞이한 인원왕후 김씨 등 총 4명의 왕비를 맞았습니다.

 

왕에게 있어 중전이 아닌 후궁은 신하이므로 부인으로 생각할 수는 없는데요.

후궁까지 어쨌든 따진다면 사실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왕이 총애를 내렸다고해서 다 후궁으로 봉하지는 않았고, 후궁으로 봉해졌다 하더라도

왕자를 낳는다거나 하는 특별한 공이 없으면 실록에 남지 못한 후궁도 많거든요.

조선은 중국의 제후국이었기 때문에 후궁을 12명까지만 둘 수 있었는데 사실

태종,성종,선조 등의 임금은 후궁이 20명이 넘었고 성종은 30명 가까이 될 겁니다.

 

여성편력이 적지 않았던 임금을 들자면

정종(태종의 형)

태종

세종

성종

연산군

중종(왕비 세명을 포함해서 후궁이 적지 않았죠)

선조

 

사족입니다만, 세종,성종,선조는 후궁편력으로 후대에 적잖은 비극을 만들었죠.

세종의 사후 둘째아들 수양대군의 왕위찬탈 과정에서 숱한 동,이복 형제들이 죽었고

성종은 후궁에 대한 중전의 질투로 연산군의 비극을 만들었는가 하면 선조는 적통 아들을

보겠다는 욕심으로 결국은 광해군의 손에 영창대군 및 숱한 왕자들이 죽어야 했습니다.

 

조선시대 후궁은 왕의 신하로서, 왕실의 번창을 위한 필요악 같은 것이었습니다.

조선후기로 갈수록 적통대군을 얻기가 어려워 많은 서왕자가 왕위를 이었지요.

그러나 유교 성리학에 기반한 조선시대에 아무리 왕의 아들이라고 해도 적통이 아닌 첩 소생

서왕자의 왕위계승은 앞뒤가 맞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조선왕조 최초로 서자 출신으로 왕위에 오른

선조와 천한 출신 어머니로 고통을 겪은 영조의 컴플렉스는 조선왕조에 큰 비극을 가져왔죠.

 

조선시대에 가장 많은 부인을 둔 왕은 3대 태종(1400~1418)과

9대 성종(1469~1494)이라고 합니다. 이 두왕은 각각 12명의 부인을 두었었다고 하네요.

 

이 중에서 성종은 13세에 즉위하여 38세로 승하할때까지 25년 1개월간 재위하면서

총12명의 부인에게서 28명(16남12녀)의 자식을 얻었다고 합니다.

 

부인의 수로는 3대 태종(1400~1418)과 함께 조선왕조 공동1위이고,

자식의 수로는.. 태종(29명)에 이어 2위를 기록하였으며

왕자의 수로는.. 4대 세종(18남)에 이어 역시 2위에 랭크되었고,

공주의 수로도.. 태종(17녀)에 이어 2위를 달성했다고 하네요.

자세한 살펴보면,

첫번째 부인 공혜왕후 한씨(한명회의 딸)에게선.. 자식이 없었고요..

두번째 부인 폐비 윤씨에게서 10대 연산군(1494~1506)을 얻었습니다..

세번째 부인 정현왕후 윤씨는 11대 중종(1506~1544)과 신숙공주를 낳았죠..

그외 명빈김씨가 1남(무산군), 귀인정씨가 2남1녀(안양군,봉안군,정혜옹주),

귀인권씨가 1남(전성군), 귀인엄씨가 1녀(공신옹주), 숙의하씨가 1남(계성군),

숙의김씨가 3녀(휘숙옹주,경숙옹주,휘정옹주), 숙용권씨가 1녀(경휘옹주),

숙용심씨가 2남2녀(이성군,영산군,경순옹주,숙혜옹주)를 낳았습니다..

그러나 그중에서도.. 숙의홍씨는 무려 7남3녀

(완원군,회산군,와성군,익양군,경명군, 운천군,양원군,혜숙옹주,정순옹주,정숙옹주)를 낳았는데요.

이렇게 자식을 낳아준 숙의홍씨가 성종으로부터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하네요.

자식이 다른 후궁들보다 압도적으로 많다는 사실만 봐도 성종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은 후궁은 단연

숙의홍씨였을 겁니다.. 물론, 어느후궁이던 한때는 성종의 총애를 한번씩은 다 받아봤겠지만,

숙의홍씨만큼 오랫동안 총애를 받은 후궁은 없었던것 같다고 하는군요.

아들이라면, 계비 정현왕후 윤씨의 소생인 진성대군(훗날의 중종)이 아닐까 싶군요..

한국 역대인물 종합정보(people.aks.ac.kr)는 우리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 1만5700명과

과거시험 합격자 7만4000명, 조선시대 관직명 정보 1000개, 성씨 본관 정보 600개 등

양적으로도 역대 인물 정보 중에서 가장 방대 할 뿐 아니라 전문 연구자들이 참여

구축했기 때문에 정보의 질도 매우 우수하다고해요

 

조선 역대 왕 중에서 가장 많은 부인을 둔 임금은 세종대왕도 연산군도 아닌

태종(3대)과 성종(9대) 이예요. 각각 12 명의 정비와 후궁을 두었죠

 

가장 많은 아들을 둔 임금은 18명의 아들을 둔 세종대왕이고 다음이 성종 16명

2대 정종이 15명 순이예요 딸은 태종이 17명으로 가장 많이 낳았으며

성종이 12명, 중종과 선조가 각각 11명의 딸을 뒀어요

 

그밖에 조선의 역대 임금 27명 가 운데 정상적으로 장자가 왕위를 계승한 경우는

문종, 단종, 연산군, 인종, 현종, 숙종, 경종 7명 뿐이라고 해요

 

나머지는 여러가지 비 정상적인 방법으로 왕이 됐다고 하는데요

비정상적인 방법이란, 왕위 찬탈, 장자의 죽음으로 인한 우연치 않은 계승,

정식 후계가 없어 왕 가의 혈통 중에서 승계한 경우 등이죠

 

또 조선조에서 가장 왕위에 오래 있었던 임금은 21대 영조로서 51년 7개월 이예요

반면 가장 짧은 기간 재위한 임금은 12대 인종으로 재임기간이 9개월에 불과하다고 하네요

 

 

[조선시대 3대 태종(1400~1418) 가계도]

태조 - 신의왕후 한씨

제 3대 태종

5남 : 방원,정안대군(1367-1422)

재위기간 : 1400.11-1418.8(17년 10개월)

부인 : 12명 / 자녀 : 12남 17녀

1부인

원경왕후 민씨

4남4녀

2부인

효빈 김씨

1남

3부인

신빈 신씨

3남6녀

4부인

선빈 안씨

1남

5부인

의빈 권씨

1녀

6부인

소빈 노씨

1녀

양녕대군

효령대군

충녕대군(제4

대 세종)

성녕대군

정순공주

경정공주

경안공주

정선공주

경녕군

성녕군

온녕군

근녕군

정신옹주

정정옹주

숙정옹주

숙녕옹주

숙경옹주

숙근옹주

익녕군

정혜옹주

숙혜옹주

7부인

숙의 최씨

1남

8부인

안씨

1남2녀

9부인

최씨

1남

10부인

김씨

1녀

11부인

이씨

1녀

12부인

?

1녀

회령군

 

혜령군

소숙옹주

경신옹주

후령군

 

숙안옹주

 

숙순옹주

 

소선옹주

 

 

 

[조선시대 9대 성종(1469~1494) 가계도]

덕종- 소혜왕후 한씨

제 9대 성종

차남 : 자을산군(1457-1494)

재위기간 : 1469.1-1494.12(25년 1개월)

부인 : 12명 / 자녀 : 16남 12녀

1부인

공혜왕후 한씨

자식없음

2부인

정현왕후 윤씨

1남1녀

3부인

폐비 윤씨

1남

4부인

명빈 김씨

1남

5부인

귀인정씨

2남1녀

6부인

귀인 권씨

1남

 

제11대 중종

(진성대군)

신숙공주

제10대 연산군

 

무산군

 

안양군

봉안군

정혜옹주

진성군

 

7부인

귀인 엄씨

1녀

8부인

숙의 하씨

1남

9부인

숙의 홍씨

7남3녀

10부인

숙의 김씨

3녀

11부인

숙용 심씨

2남2녀

12부인

숙용 권씨

1녀

공신옹주

 

계성군

 

완원군

회산군

와성군

익앙군

경명군

운천군

양원군

혜숙옹주

정순옹주

정숙옹주

휘숙옹주

경숙옹주

휘정옹주

이성군

영산군

경순옹주

숙혜옹주

경휘옹주

 

출처

https://m.cafe.daum.net/sandongms5/TgzB/29?q=D_6Yyoqc24i8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