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땀띠치료_땀띠 없애는법과 땀띠예방법 안녕하세요 행공지기입니다! 오늘은 활동량이 많아지는, 땀날 일이 많아지는 계절을 맞아 준비한 내용입니다. 여름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즐기고, 배망을 메고 더운 날씨에 걷다보면 땀이 흐르기 쉽죠. 그러나 일정상 바로 씻지 못하기 때문에 피부가 간지럽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이 계속 된다면 '땀띠'라는 질병이 나타날 수 있죠. 그렇습니다! 오늘의 포스팅 주제는 바로 '땀띠'입니다. 땀띠의 예방법과 치료법을 살펴보도록 할까요!? 땀띠의 원인 땀띠란 땀관이나 땀관 구멍이 막혀서 땀이 표피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발진과 물집을 말합니다. 땀띠는 폐쇄된 땀관의 위치에 따라 수정땀띠(miliaria crystallina), 적색땀띠(miliari..

[집안 모기통로] 집안에 모기가 들어오는 통로 !! 바로여기 !! 여름철 불청객 모기 ㅠㅠㅠ 우리집에 방문하는건 정말실은데 ^^^^ 여름철만되면 모기와의 전쟁을 치러야하니 >> 이제 그통로가 어디인지 하나하나 추적해서 차단할것입니다 ㅠㅠㅠ 이곳은 화장실 위에 환풍구입니다 언젠가 이 환풍구로 혹시 모기들이 들어오지안을까 하고 의심을해서 하루 화장실문을 초저녁에닫고 그이튼날아침에 드러가보니 아니나다를까 예상은 적중하였네요 5마리가 노크도안하고 들어와있네요 ,,,, 우리집에는 환풍기를 달지안아서 아에 청테프로 봉해버렸읍니다 혹 환풍기가 달려있는 집에서는 봉하면 안되겠지요 헝겁으로된 모기장이나 다마네기자루 이런것을 사이즈에맡게 잘라서 글루건이나 테프로 붙여놓는것도 한방법 일것같네요 ㅠㅠㅠ..

이제 오피셜입니다. 드디어 올 것이 왔거든요. 오늘(2018년 8월 1일) 서울 지역 최고 기온은 39.6도까지 올랐습니다. 1907년 기상 관측을 시작한 뒤 111년 만에 서울 지역 최고 기록1입니다. 서울 바깥에서도 강원 홍천군이 41.0도로 역대 최고 기록을 아예 새로 썼습니다. 뿐만 아닙니다. 기상청 공식 관측소 95곳 가운데 35곳에서 역대 최고 기온을 기록했습니다. 이러면서 역대 최고 기온 1~5위를 모두 2018년 8월 1일이 차지하게 됐습니다. 자연스레 게임도 끝났습니다. 이제 더 이상 1994년 이야기를 하실 필요없습니다. 올해가 우리가 경험한 가장 더운 여름입니다. 1994년 7월 24일 나온 이전 서울 최고 기온(38.4도)보다 올해가 1.2도 더 높습니다. 1994년 ..

모기는 계(界 Kingdom), 문(門 Phylum), 강(綱 Class), 목(目 Order), 과(科 Family), 속(屬 Genus), 종(種 Species)의 생물 분류체계에서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파리목, 모기과(Culicidae)에 속하는 곤충이다. 모기과는 일반적으로 학질모기(Anophelinae), 보통모기(Culicinae)와 왕모기(Toxorhynchitinae or Megarhininae) 등 3개의 아과(subfamily)로 분류한다. 모기는 약 2,500종이 있다는데 우리나라에서는 50여종이 발견된다. 말라리아 매개채인 얼룩날개모기(Anopheles)는 학질모기 아과에 속하고, 전세계적인 분포하고 있는 숲모기(Aedes), 집모기(Culex), 늪모기(Mansonia..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맞을까? 기상청 기자단 / 공현선 점점 여름은 길어지고, 겨울은 짧아지는 것 같지 않나요? 우리나라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아름다운 사계절을 가진 나라라고 어렸을 때부터 배워왔는데, 요즘 느껴지는 날씨를 보면 사계절이 아닌 것 같아요. 실제로! 여름은 길어지고, 겨울은 짧아지고 있는 걸까요? 만약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사계절 온난기후에서 어떤 기후로 변화하고 있는 것일까요? □ 계절을 나누는 기준! 위도에 따라 계절을 나누는 기준은 조금 달라요! 북반구의 중위도 지방에서는 기온의 변화에 따라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로 구분하며, 일반적으로 3, 4, 5월을 봄, 6, 7, 8월을 여름, 9, 10, 11월을 ..

먼저 재산피해 순으로 알아볼까요... 재산피해 1위 루사 발생일 2002. 08. 30 ~ 09. 01 재산피해액 51,479억원 2002년 15호 태풍 루사는 최대 풍속 41m/s로 서울에 하루 최대 56mm의 비를 뿌렸다네요... 이로 인해 건물 35동이 침수되는 등 많은 피해를 발생시켰다고... 재산피해 2위 매미 발생일 2003. 09. 12 ~ 09. 13 재산피해액 42,225억원 기상관측을 실시한 이래 중심부 최저기압이 가장 낮은(950hPa) 태풍으로 인명 130명, 4089세대 1만 975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고 도로 교량 및 각종 시설등이 유실되거나 파괴를... 재산피해 3위 올가 발생일 1999. 07. 23 ~ 08. 04 재산피해액 ..